안녕하세요. 어미새입니다.


지난 이더리움 포스팅에서는 비탈릭 부테린에 대한 인물 소개와 이더리움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살펴봤습니다. 혹시 못보셨던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지난 포스팅을 먼저 읽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시간에 예고해 드린것처럼 이더리움의 백서 도입부인 역사파트의 내용을 재해석 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원문 내용을 축약하여 쉽게 풀어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보충해야되는 부분을 채워가는 형식으로 진행하도록하겠습니다. 만약 이더리움 백서의 원본을 읽고 싶으신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원문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더리움의 백서의 시작은 비트코인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사토시 나카모토가 2008년~2009년에 개발한 비트코인은 중앙화된 발행기관이나 통제기관 없이 상용화된 디지털 자산의 첫번째 사례였기 때문에 화폐와 통화분야에 매우 근본적인 혁신으로 묘사되어왔다. 하지만 더 중요한 요소는 분산합의 수단으로서의 블록체인 기술이며, 이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늘어나고있다.

이더리움은 완벽한 튜링완전(turing-complete) 프로그래밍 언어가 심어진 블록체인이며, 이 프로그래밍 언어는 코딩된 규칙에 따라 '어떤 상태'를 다르게 변환시키는 기능이 포함된 계약(contracts)을 유저들이 작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리가 아직 상상하지 못한 다른 많은 어플리케이션도 매우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것이다.


Introduction to Bitcoin and Existing Concepts


History

분산화된 디지털 통화의 개념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었습니다. 1980~1990년대에 암호 알고리즘(cyptographic primitve)을 기반한 e-cash 프로토콜은 개인정보를 강력하게 보호하는 화폐를 제공하였으나 중앙집권적인 중개인 방식에 의존했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1998년 'Wei Dai'의 b-money는 작업 증명 방식의 방식으로, 분산 합의와 계산 퍼즐을 풀게하는 방식을 통해서 화폐를 발행하게 하는 아이디어를 최초로 제안하였지만 분산 합의를 실제로 어떻게 구현할지에 대한 자세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2005년 'Hall Finney'는 b-money의 아이디어에 Adam Back의 계산 난이도 해시캐시 퍼즐을 조합하여 재사용 가능한 작업증명 개념을 소개하였습니다만, 이 방법도 외부의 신뢰를 필요로 하는 컴퓨팅(trsuted computing)을 기반에 둠으로써 또 다시 구현하는데에 실패하였습니다.

2009년 나가모토 사토시에 의해 비트코인이 개발되었으며, 비트코인은 공개키 암호방식을 통한 소유권 관리를 위해 사용되었던 기존의 알고리즘과 '작업 증명(proof of wokr)' 합의 알고리즘을 결합함으로써 실제적으로 탈 중앙화된 화폐를 처음 구현하게되었습니다.

작업 증명 방식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노드들이 비트코인 장부 상태에 일어난 업데이트를 공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으며, 누구나 합의 프로세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합의 결정권에 대한 정치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시빌 공격(sybile attacks)을 방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였으며 각 노드의 결정권의 크기를 그 노드의 계산 능력에 직접적으로 비례시키는 방식으로 어떤 형식적 장벽대신, 경제적 장벽으로 대처함으로써 매우 혁식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습니다.

작업 증명 방식 이후, 지분 증명(proof of stake)라는 새로운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 등장하였고, 이는 각 노드가 가진 계산 능력이 아니라 화폐의 보유량에 따라 각 노드의 결정권 정도를 계산한다는 개념입니다.

이 두 방식의 상대적인 장점들에 대한 논의는 이 백서에서는 다루지 않겠지만, 두 방법 모두 암호화화폐의 기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지적해두고자 한다.


상태변환시스템으로서의 비트코인(Bitcoin As A State Transition System)


비트코인의 장부는 하나의 상태변환 시스템(state transation system)으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현재 모든 비트코인의 소유권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상태(state)"와 트랜잭션(거래 기록)을 처리하고 새로운 "상태(state)"정보를 만들어주기 위한 "상태변환함수(state transition function)"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예를 들어 표준 은행 시스템이 비유하자면 상태는 모든 계좌 잔고표(balance sheet)와 같고, 트랜잭션은 거래 내역으로 A에서 B로 X(금액)를 송금하라는 요청입니다. 상태 변환 함수에 의해 A의 계좌의 잔고는 송금한 X만큼 감소하고, B의 계좌의 잔고는 송금 받은 X만큼 증가하게되는것입니다. 만약 A의 계좌에 있는 잔고가 송금하고자 했던 금액 보다 작을 경우 상태 변환 함수는 에러를 리턴하게됩니다.

백서에 있는 그림을 조금더 보기 쉽게 변경한 그림은 1번과 같으며, 백서 본문에 기록된 원본 이미지는 2번과 같습니다.


1. 백서 변경 그림


2. 백서 원본 그림

[출처 : 이더리움 백서(링크)]


이러한 상태변환을 비트코인 장부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APPLY(S,TX) -> S' or ERROR


만약 은행 시스템에서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APPLY({ Alice: $50, Bob: $50 },"send $20 from Alice to Bob") = { Alice: $30, Bob: $70 }

APPLY({ Alice: $50, Bob: $50 },"send $70 from Alice to Bob") = ERROR


UTXO집합에는 각자의 코인 금액이 표시되어 있고, 이 UTXO의 소유자(20byte의 주소로 정의되는 암호화된 공개키)의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트랜잭션에는 하나 이상의 입력(inputs) 및 출력(outputs)이 포함되며, 입력에는 보내는 사람의 UTXO에 대한 참조 정보와, 개인 키로 암호화된 서명을 포함하고있습니다. 또한, 출력에는 새롭게 추가될 UTXO 정보가 포함됩니다.


위에서 언급된 상태 변환 함수APPLY(S,TX) -> S를 풀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TX(트랜잭션)의 입력 값 검증

    • 만약 S에 참조된 UTXO 정보가 없다면, 에러를 리턴

    • 만약 서명 정보가 UTXO 의 소유자와 같지 않으면, 에러를 리턴(다른 사용자의 예치금)

  2. 만약 입력에 사용된 UTXO 들의 총합이, 출력 UTXO 의 합보다 작으면, 에러를 리턴.(잔고 부족)

  3. 위의 모든 정보가 정상적이라면, 입력에 사용된 UTXO 정보를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 삭제하고, 출력 UTXO 정보를 추가하여 새로운 "상태(state)"인 S'를 리턴.


1번의 첫번째 과정은 존재하지 않은 비트 코인이 트랜잭션에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것이며, 1번의 두번째 과정은 다른 사람의 코인이 트랜잭션에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입니다.

만약 Alice가 Bob에게 11.7 BTC를 보내고 싶을 경우 먼저 Alice 지갑주소에 표시된 금액의 합이 최소 11.7 BTC 이상인 UTXO의 집합 정보가 필요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11.7 BTC를 가지고 있는 UTXO 정보를 바로 선택하는 경우는 드물며, 6.0 BTC, 4.0 BTC, 2.0 BTC 처럼 금액이 분산된 여러가지 UTXO 정보를 참조하게됩니다.

보내고자 하는 금액은 11.7 BTC이지만, 실제 참조하게되는 UTXO 총합은 12.0 BTC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12(6+4+2) - 11.7 = 0.3 BTC 잔돈이 발생하게됩니다.

트랜잭션에는 위의 3가지 UTXO 정보가 input으로 설정되며, output에는 송금하고자 하는 금액 11.7 BTC의 새로운 UTXO 정보와, 소유자 Bob이 잔돈을 받게되는 UTXO 정보 2가지 정보로 구성됩니다.



Think

본 포스팅 문서는 이더리움 백서를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재 해석하였으며, 너무 많은 양을 한번에 포스팅할 경우 읽는 사람도 지치고, 작성하는 사람도 지칠것 같아서 조금씩 꾸준히 포스팅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모든 백서의 도입부는 기존의 시스템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과,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지적하고 새로운 방식을 어떻게 구현할것인지에 대한 내용으로 채워지게됩니다.

오늘 포스팅한 백서에서는 비트코인이 이세상에 없던 기술들을 총집합하여 탄생한것이 아니라 아주 오래전부터 그와 관련된 이론들과 논의들이 있었다는 내용과, 비트코인이 어떤 의미에서 혁신적이었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하였으며, 작업 증명 방식, 지분 증명 방식의 두가지 합의 알고리즘을 언급함으로써 이더리움에 시작은 작업 증명 방식으로 이루어지나 추후 지분 증명 방식으로 변화할것을 예고한 느낌입니다.

또한, 기존의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태(State)'와 '상태 변환 함수(state transition function)'에 대한 개념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 후 이더리움에서는 이 부분을 어떻게 수정할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됩니다.

오늘은 이더리움 백서의 도입부에 대한 내용을 해석하였으며,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계속해서 백서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https://github.com/ethereum/wiki/wiki/%5BKorean%5D-White-Paper#%EC%83%81%ED%83%9C%EB%B3%80%ED%99%98%EC%8B%9C%EC%8A%A4%ED%85%9C%EC%9C%BC%EB%A1%9C%EC%84%9C%EC%9D%98-%EB%B9%84%ED%8A%B8%EC%BD%94%EC%9D%B8bitcoin-as-a-state-transition-system

'이더리움 > 이더리움(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백서(6편)  (0) 2018.04.12
이더리움 백서(5편)  (0) 2018.04.11
이더리움 백서(3편)  (0) 2018.04.10
이더리움 백서(2편)  (0) 2018.04.06
이더리움 개요  (0) 2018.04.05

안녕하세요. 어미새입니다.


이더리움에 대한 설명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지 참 많은 고민이 있었습니다. 우선은 백서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는것이 가장 먼저인것같았습니다, 그래서 이더리움의 백서 내용을 조금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하는 포스팅을 진행할 예정이며, 깊히 있게 다뤄야하는 부분은 추후 따로 개별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첫시간이니만큼 간략한 개요 정도로 가볍게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는 부분은 코멘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의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어렸을떄부터 프로그래밍에 소질이 있었고, 비트코인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인물중 한명입니다. 2011년 비트코인 매거진을 만들었을 정도로 비트코인에 대한 열정이 가득한 청년이었습니다. 비탈릭은 비트코인 기술을 응용하면 단순한 지급 결제뿐 아니라, 주식 발행, 부동산 계약, 보험 상품 설계, 법인 등록, 전자 투표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럼 비탈릭은 어떤 부분에서 이런 생각을하게 되었을까요?


스크립트(Script)

비트코인 내부에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인 스크립트(Script)가 있습니다. UTXO를 관리하기 위한 잠금 스크립트와, 서명이 담겨있는 해제 스크립트가 있었죠 그리고 이 스크립트들이 실행되면서 소비 조건이 맞는지 확인하고 암호해제와 거래 이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스크립트는 간단한 연산과 판단만을 할 수 있었으며 이것을 튜링 불완전성이라고합니다. 비탈릭은 이러한 비트코인의 스크립트의 튜링 불완전성을 수정 보안하여, 튜링 완전성을 확복하고 나아가 단순한 암호화폐 교환의 역할만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해방시키고자 하였습니다.


비트코인 커뮤니티

비탈릭은 이러한 내용으로 비트코인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기존의 채굴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환영하지 않았죠.. 자신들에게 더 많은 수익이 창출될거라는 생각보다는 기존의 프로그램을 변경해야하며, 악의적인 사용자가 스크립트에 무한루프(반복문)를 통하여 악성 코드를 심었을 경우 네트워크는 마비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시선이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비탈릭은 새로운 코인을 만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더리움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가장큰 차이점은 사용 범위에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한 결제, 거래 관련 시스템이입니다. 즉 화폐로서의 기능에 집중되어 있죠, 하지만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래나 결제뿐만 아니라, 계약서, SNS, 이메일, 전자투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확작성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더리움의 등장으로 기존의 암호화폐는 단순한 화폐의 기능을 제공하였다면,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분야의 확장성을 제안함으로써 2세대 코인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게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의 가장큰 목표는 분산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대체 프로토콜을 만드는것이었습니다, 즉 블록체인을 활용한 모든 것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을 만들고 싶었던것이죠. 우리는 앞으로 이더리움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백서를 참고하여 내용을 간략하게 이해한 후 중요한 요소들은 개별적인 포스팅을 통해 심도있게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백서의 내용이 궁금하신분들 위해 한글, 영문 백서의 링크를 아래와 같이 첨부하였습니다. 미리 읽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이더리움 백서 목차

  • 역사

    • 상태변환시스템으로서의 비트코인

    • 채굴

    • 머클트리

    • 블록체인 사용한 다른 사용사례

    • 스크립팅

  • 이더리움

    • 이더리움 어카운트

    • 메시지와 트랜잭션

    • 이더리움 상태변환함수

    • 코드 실행

    • 블럭체인과 채굴

  • 어플리케이션들

    • 토큰 시스템

    • 금융 파생상품

    • 신원조회와 평판시스템

    • 탈중앙화된 파일 저장공간

    •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

    •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들

  • 기타 이슈들

    • 수정된 GHOST 도입]

    • 수수료

    • 연산과 튜링완전성

    • 통화와 발행

    • 채굴 중앙집중화

    • 확장성

  • 결론

  • 주석과 추가 자료



더하기

2014년 '월드테크놀로지어워드' 올해의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 부문 수상은 모두가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가 차기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지만, 이더리움의 아버지인 비탈릭 부테린이 수상하게 되었죠, 그 당시 비탈릭의 나이는 20살에 불과하였습니다. 이때 우리나라에서는 이더리움의 표기를 이시리움이라고 표기하고 있었던것 같네요..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그 당시 뉴스 기사를 읽어보셔도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이로써 이더리움에 대한 아주 간략한 개요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으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더리움 백서에 나와있는 '역사'파트에 대한 내용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역사 파트이다보니, 비트코인에 대한 이야기로 내용이 구성되어있습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https://brunch.co.kr/@blockchainstory/5

https://brunch.co.kr/@ashhan/10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4121540821

https://namu.wiki/w/Ethereum

'이더리움 > 이더리움(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백서(6편)  (0) 2018.04.12
이더리움 백서(5편)  (0) 2018.04.11
이더리움 백서(3편)  (0) 2018.04.10
이더리움 백서(2편)  (0) 2018.04.06
이더리움 백서(1편)  (0) 2018.04.06

아래의 자료는 Keepit 저널에서 게시된 콘텐츠이며, 제가 저자로 참여하여 작성된 콘텐츠입니다. 
비트코인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을 예정이기에 게시물을 따로 분류하여 블로거 여러분들에게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옮겨왔습니다. 

[ 원본 게시글 ]

KEEP!T Column

안녕하세요! KEEP!T입니다.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트코인 뽀개기'라는 주제로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독자분들께서 적극적인 코멘트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의 필요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2000년대 초반 IT 버블이 붕괴되고 911 테러, 아프간/이라크 전쟁 등으로, 미국 경기가 악화되자 미국 정부는 경기부양책으로 저금리 정책을 펼쳤습니다. 주택융자 금리가 인하되자, 많은 사람들은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하였고,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경기가 좋아지자 미국 정부는 2004년 저금리 정책을 종료하였고, 주택융자 금리 또한 인상되었습니다. 금리가 인상되자 저 소득층 대출자들은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담보로 잡혀있던 주택 가격들은 하락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서브 프라임 모기지론을 구매한 금융기관들은 대출금을 회수할 수 없는 상태에 빠졌고, 이 과정에서 여러 기업들이 부실화되면서 미국의 대형 금융사 및 증권회사들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결국 2008년 세계 금융 위기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주요 국가의 중앙은행에서는 양적 완화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무분별한 화폐의 발행으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자 모든 경제 구성원들에게 피해가 이어졌습니다. 일부 기업의 실패로 시작된 금융위기를 양적 완화를 통해 극복하는 모습에 많은 사람들이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생겼으며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양적 완화 :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 화폐를 발행한 후, 그 화폐로 국채나 민간이 가지고 있는 일정 신용등급 이상의 채권을 매입하여 통화량을 늘리는 정책입니다.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 도입의 어려움
전자화폐

전자화폐는 전자적으로만 교환되는 돈이나 증서를 뜻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선불 카드시스템에서 통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페이팔(PayPal), 웹머니 등과 같은 중앙 집권적 체계의 전자화폐 시스템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상용화되었지만, 개인과 개인이 거래를 할 수 있는 탈 집권적 체계의 전자 화폐 상용화에는 기술적, 제도적 문제점들이 있었습니다.

'기술적' 문제

디지털 데이터는 무한대로 복제 가능하고, 원본과 복사본의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이중 지불이라는 문제를 내적으로 안고 있었으며, 분산 컴퓨팅 분야의 오래된 난제 중 하나인 비잔틴 장군 문제와 같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중 지불(Double Spent): 단일 통화 단위가 두번 결제되어 발생하는 문제다. 디지털 데이터는 무한대로 복제가 가능하고 원본과 복사본의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디지털 화폐는 이중 지불이란 문제를 내재적으로 안고 있다. 디지털 데이터가 검증받지 못한다면, 그 데이터를 복사해서 동시에 여러 곳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비잔틴 장군 문제(Byzantine General's Problem): 1984년 레슬리 램포트와 쇼스탁, 피스가 공저한 논문 에서 처음 언급된 문제이며, 분산 컴퓨팅 분야에서 오랫동안 풀지 못했던 난제다. 서로를 신뢰할 수 없는 사람들이 참여하는 분산 P2P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합의를 이뤄낼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보상'의 필요성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희생'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P2P 네트워크 중 하나인 토렌트 프로그램을 생각해보겠습니다. 토렌트에 접속하는 대다수의 구성원들은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접속하며, 다운로드가 완료될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다른 구성원들을 위해 업로드 기능을 활성화하여 자신의 컴퓨터 자원을 '희생'하는 구성원은 극히 소수일 수밖에 없습니다.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유지시켜야 하는 '이유'와 '목적'을 구성원들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암호 화폐이며, 중앙은행 없이 P2P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들 간에 자유로운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암호 화폐입니다. 2008년 10월 사토시 나가모토라는 가명을 사용한 프로그래머가 "Bitcoin :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공개했고, 3개월 만인 2009년 1월 프로그램 소스를 배포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의 화폐 단위는 BTC로 표기하며, 1 BTC 미만의 단위는 비트코인의 창시자 사토시 나가모토의 이름에서 따온 사토시(satoshi)라 부릅니다.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40년까지 총 2100만 개로 정해져있으며, 무분별하게 발행될 수 있는 종이화폐와 달리 제한된 양의 화폐를 발행함으로써 더 큰 가치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탈 중앙화 시스템의 기술적 문제점인 이중 지불 및 비잔티움 장군 문제를 합의 알고리즘인 작업 증명(Proof-of-Work)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하였으며, 네트워크에 더욱더 많은 기여를한 구성원에게 더 큰 '보상'을 줌으로써 선의의 경쟁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에 기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의 등장 이후 이더리움, 스팀과 같은 다양한 암호 화폐와 플랫폼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현재에는 많은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히 암호 화폐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작을 알린 암호 화폐라고 생각합니다.


yahweh87


[참고자료]


'비트코인(keep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EP!T Column 비트코인 뽀개기(2편)  (0) 2018.04.12

+ Recent posts